x

이메일로 만나보는 스타트업 가이드

투자, 행사, 정부사업 등 스타트업 생태계 소식을 이메일로 편하게 받아보세요.

중소벤처기업부 2021년 발간 자료에 따르면 2020년 창업 법인 수는 창업 법인 기업이 벤처 붐이 있던 2000년과 견줘도 100.4% 증가했을 정도로 국내에서 창업에 대한 관심과 관련 생태계는 폭발적으로 성장해왔다. 이와 함께 창업 관련한 정부 예산 역시 1998년 처음 82억 원이 편성된 이후 2020년 기준 8,492억 원으로 100배 이상 증가하는 등 공공 창업 지원도 동시에 성장했다. 이런 흐름에 맞춰 공공은 물론 창업투자사와 액셀러레이터 증가 등 민간 차원에서도 활발한 창업 지원이 이뤄지고 있다. 따라서 한정된 지면에서 창업 지원 기관, 기업과 스타트업 생태계 내 모든 이해관계자를 다루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에 다음과 같은 기준을 바탕으로 본 지에서 다룰 기관을 선정했다.

공공기관의 경우 2022년 정부 창업 지원 사업 통합 공고의 주관처를 바탕으로 파악한 각 중앙 부처 산하 기관과 준공공 기관, 위탁집행형 준정부 기관을 중심으로 해 기술 대상을 선정했다. 이에 덧붙여 대다수 스타트업이 밀집해 있어 분야별 지원 기관/거점이 발달한 서울시 산하 지원 기관/센터를 별도로 다뤘다. 그 외 지역 창업과 특정 산업 혁신 성장, 육성을 목표로 지역별로 거점을 두고 설립된 창조경제혁신센터, 스마트미디어센터 등 창업 지원 기관을 개괄적으로 소개하고자 했다.

민간 창업 지원 기관은 이번 보고서에서는 별도 재단을 설립해 창업 지원 활동을 하는 민간 비영리 재단을 중심으로 기재 대상을 선정했다. 스타트업레시피는 이미 각각 지난 2022년 2∼3월 주요 벤처캐피털과 액셀러레이터 현황을 다룬 바 있어 이번 보고서에서는 따로 다루지 않았다. 또 스타트업 생태계 저변이 확대되면서 대‧중견 기업이 오픈이노베이션과 CSR/CSV 일환으로 공간, 프로그램, 지원금 등 다양한 방식으로 창업을 지원하고 있지만 기관 자체 존속 이유가 창업 지원 자체에 목적을 두고 있지 않아 본 보고서에서는 제외하고 기술했다.

기관별 정보의 경우 공신력 있는 자료를 확보하고자 기업·기관이 직접 공시한 자료나 기사화된 내용을 중심으로 기재했으나 일부 기업 현황은 시점에 따라 본 리포트의 작성 내용과 다소 상이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둔다.

대한민국 창업지원기관 현황 리포트

자료를 다운로드 합니다.

이메일을 입력하면 무료 발송해드립니다

이메일 수신 동의(스타트업레시피 무료 구독 회원 가입) Privacy Policy.

뉴스 레터 구독하기

Related Posts

Next Post

NewsRecipe